70년대 초등학생 시절 아버지는 담배갑에 비해 1.5배 만한 조그마한 트랜지스터 라디오에 뒷통수에 라디오보다 3, 4배 이상 커다란 사각형의 무거운 건전지를 고무줄로 감싸 들고 다니시면서 음악과 뉴스를 청취하시곤 했습니다.
다이얼로 am 중파 방송국을 찾아 돌려가며 조그맣게 깡통 소리가 나는 음악을 들으며 이게 당연한 것인양 유년 시절을 보냈던 것 같습니다.
어느덧 세월이 흘러 수 십년의 문명의 발전 속에서 모든 게 바뀌기 시작했고 우리가 매일 듣는 음악도 단순히 들린다가 아니라 얼마나 원음에 가깝게 좋은 음악을 듣느냐로 기준이 달라지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제가 즐겨 사용하는 foorbar2000이라는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foobar2000은 고음질 오디오 재생에 특화된 무료 음악 재생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포맷의 음원을 손실없이 출력하며, WASAPI(Exclusive Mode)나 ASIO를 통해 운영체제의 사운드 믹서를 우회하고 원음 그대로의 출력이 가능한 pc용 소프트에어입니다.
그밖에도 정밀한 샘플링 레이트 매칭과 디지털 이퀄라이징, 크로스오버 설정 등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 음악 애호가라면 모두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오늘은 최신 버전의 foorbar2000에서 제공하고 있는 인터넷라디오 기능에 대해 정보를 같이 공유할까 합니다.
몇 년전 이곳에서 우연히 알게된 tune in radio라는 앱에 있는 전세계 인터넷라디오 청취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린 적이 있었습니다.
당시 수천개의 전세계 음악 스트리밍 방송을 무료로 청취할 수 있다는 점을 안내하면서 무료로 손쉽게 아나운서의 멘트없는 24시간 재즈와 클래식 음악 사용법을 소개해 드렸는데요.
이후 해당 앱이 유료로 바뀌고 pc나 다른 음악환경에서 청취하기 쉽지 않은 점 때문에 그간 tune in radio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앞서 말씀드린 foorbar2000이 어느 날부터 업그레이드되면서 인터넷라디오 메뉴가 추가되었다는 사실을 우연히 알게 되었습니다.
특히 foorbar2000에서 제공하는 인터넷라디오는 tune in radio와 마찬가지로 전세계에서 인터넷으로 송출되는 수천개가 넘는 방송국이 망라되어 있고 콘트롤 탭과 콤보, 목록 상자를 통해 전세계 200여개국 나라와 음악장르를 선택하면 해당 나라의 관련 장르 분야의 방송국들이 어마어마하게 나열됩니다.
제가 너무 많아 모든 나라와 방송국을 살펴보지는 못했지만 아프리카, 처음 듣는 태평양 섬나라들은 물론 심지어 평양fm까지 검색이 되는 걸 확인했습니다.
그러나 굳이 다른 인터넷라디오 앱이 존재함에도 여러분께 foorbar2000을 소개해 드리는 이유는 앞서 알려드린 foorbar2000만이 갖고 있는 고음질 출력 기능을 추가적으로 더해서 청취하실수 있다는 점 때문입니다.
아마 평소에 하이앤드급 사운드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시는 분이라면 foorbar2000이 갖고 있는 유용한 기능에 대해 이해하시리라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시각장애 사용자들을 위해 간단하게 진입 순서를 알려드리면,
foorbar2000 설치를 마치고 초기 메뉴 실행 후 view 메뉴 또는 alt+v를 누릅니다.
아래 방향키로 internet radio까지 이동 후 앤터합니다.
화면에 페이지탭 형태로 되어 있는 메뉴가 나타나며 적절히 콘트롤 탭과 콤보상자, 탭, 그리고 마지막에 방향키로 나라와 음악 장르 방송국 이름을 찾아 앤터하면 해당 국가의 특정 영역 음악을 곧바로 고음질로 즐기실 수 있습니다.
전세계의 전문적인 다양한 분야의 고음질 방송국 음악을 듣다보니 우리나라 유일의 KBS 클래식 fm이 갈 길이 참 멀구나 하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참고로 저는 이전에 tune in radio에서 즐겨 청취했던 라디오 스위스 재즈와 라디오 스위스 클래식을 여전히 찾아내 애청하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문명의 이기로 자리매김한 컴퓨터와 인터넷으로 행복한 취미 생활 하시길 기원합니다.
'정보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의 혁신, 구글의 notebookLM의 AI 오디오 오버뷰 사용 후기 (0) | 2025.06.25 |
---|---|
sk텔레콤 에이닷 통화중 녹음 초간단 사용하기 (3) | 2024.10.30 |
video gpt를 사용해 보았습니다 (0) | 2024.07.04 |
telnet 기반 넓은마을의 퇴장을 기억하며 3 (0) | 2024.06.26 |
telnet 기반 넓은마을의 퇴장을 기억하며 2 (0) | 2024.06.24 |